1820년 9월 7일 일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20년 9월 7일 일식은 1820년 9월 7일에 발생한 금환 일식으로, 프란츠 이그나츠 카시안 할라쉬카의 일식 지도에 묘사되었으며, 일식의 세부 시간과 매개변수가 기록되었다. 이 일식은 사로스 주기 122의 일부로, 일식 시즌과 관련된 다양한 주기적 현상 중 하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0년 과학 - 1820년 3월 14일 일식
- 금환일식 - 2024년 10월 2일 일식
2024년 10월 2일 일식은 금환 일식으로, 태양 사로스 144 주기에 속하며 이스터 섬, 아이센주, 산타크루스 주 등에서 금환 일식으로, 더 넓은 지역에서 부분 일식으로 관측 가능한 2024년 일식 시즌의 일부이다. - 금환일식 - 2028년 1월 26일 일식
2028년 1월 26일 일식은 금환 일식으로, 남아메리카, 유럽,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관측 가능하며 사로스 141 주기의 일부이다.
1820년 9월 7일 일식 | |
---|---|
기본 정보 | |
![]() | |
날짜 | 1820년 9월 7일 |
시간 | 13시 35분 19초 UTC |
종류 | 금환 일식 |
사로스 번호 | 132 (25/71) |
감마 | 0.9508 |
최대 지속 시간 | 0분 32초 |
엄브랄 폭 | 247.6 km |
2. 일식 관측 및 예측
19세기 초, 일식은 천문학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과학자들은 일식 현상을 통해 천체 운동을 이해하고,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노력했다. 프란츠 이그나츠 카시안 할라쉬카(프란티셰크 이그나츠 카시안 할라슈카)(1780-1847)는 1816년 프라하에서 ''일식 원론''을 출판했는데, 이 책에는 1816년부터 1860년까지의 일식 경로 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할라쉬카가 사용한 기하학적 구성은 후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이 개발한 일식 표준 이론을 예견했다.
2. 1. 프란츠 이그나츠 카시안 할라쉬카의 지도
이 지도는 프란츠 이그나츠 카시안 할라쉬카(프란티셰크 이그나츠 카시안 할라슈카)(1780-1847)가 1816년 프라하에서 출판한 책 ''일식 원론''에 그려진 것으로, 1816년부터 1860년까지의 일식 경로 지도가 포함되어 있다. 할라쉬카가 사용한 기하학적 구성은 후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베셀이 개발한 일식 표준 이론을 예견했다.
3. 1820년 9월 7일 일식의 세부 정보
1820년 9월 7일에 발생한 일식은 금환일식이었다. 이 일식에 대한 상세 정보는 아래와 같다. 일식의 시간 정보와 매개변수 정보는 아래 표에 상세히 나와있다.
매개변수 | 값 |
---|---|
일식 규모 | 0.93295 |
일식 가림 정도 | 0.87040 |
감마 | 0.82506 |
태양 적경 | 11h04m02.1s |
태양 적위 | +05°59'29.3" |
태양 반경 | 15'53.0" |
태양 적도 수평 시차 | 08.7" |
달 적경 | 11h05m27.2s |
달 적위 | +06°38'30.8" |
달 반경 | 14'41.9" |
달 적도 수평 시차 | 0°53'56.6" |
ΔT | 11.4 초 |
현상 | 시간 (UTC) |
---|---|
첫 번째 반그림자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1:21:45.1 |
첫 번째 본영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2:48:53.2 |
첫 번째 중심선 | 1820년 9월 7일 12:53:29.4 |
첫 번째 본영 내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2:58:19.3 |
적도 합 | 1820년 9월 7일 13:06:52.6 |
황도 합 | 1820년 9월 7일 13:50:09.9 |
최대 지속 시간 | 1820년 9월 7일 13:57:39.4 |
최대 일식 | 1820년 9월 7일 13:59:57.6 |
마지막 본영 내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5:02:09.4 |
마지막 중심선 | 1820년 9월 7일 15:06:58.7 |
마지막 본영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5:11:34.3 |
마지막 반그림자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6:38:31.5 |
3. 1. 일식 시간
현상 | 시간 (UTC) |
---|---|
첫 번째 반그림자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1:21:45.1 |
첫 번째 본영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2:48:53.2 |
첫 번째 중심선 | 1820년 9월 7일 12:53:29.4 |
첫 번째 본영 내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2:58:19.3 |
적도 합 | 1820년 9월 7일 13:06:52.6 |
황도 합 | 1820년 9월 7일 13:50:09.9 |
최대 지속 시간 | 1820년 9월 7일 13:57:39.4 |
최대 일식 | 1820년 9월 7일 13:59:57.6 |
마지막 본영 내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5:02:09.4 |
마지막 중심선 | 1820년 9월 7일 15:06:58.7 |
마지막 본영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5:11:34.3 |
마지막 반그림자 외부 접촉 | 1820년 9월 7일 16:38:31.5 |
3. 2. 일식 매개변수
매개변수 | 값 |
---|---|
일식 규모 | 0.93295 |
일식 가림 정도 | 0.87040 |
감마 | 0.82506 |
태양 적경 | 11h04m02.1s |
태양 적위 | +05°59'29.3" |
태양 반경 | 15'53.0" |
태양 적도 수평 시차 | 08.7" |
달 적경 | 11h05m27.2s |
달 적위 | +06°38'30.8" |
달 반경 | 14'41.9" |
달 적도 수평 시차 | 0°53'56.6" |
ΔT | 11.4 초 |
4. 일식 주기
1820년 9월 7일 일식은 여러 주기에 속해 있었다.
- 앞선 일식: 1813년 7월 27일 일식
- 다음 일식: 1827년 10월 20일 일식
- 이전 월식: 1811년 9월 2일 월식
- 다음 월식: 1829년 9월 13일 월식
4. 1. 일식 시즌 (Eclipse Season)
강하 노드 (삭)승교 노드 (망)

태양 사로스 122
달 사로스 134